고객님의 방문을 환영합니다! · · · 2025년 07월 04일

+ 로그인  |   회원가입  |  

메뉴 건너뛰기

❝ May I Help you? ❞

무얼 도와 드릴까요?

조회 수 366 추천 수 0 댓글 0
가죽을 구분하는 방법은 어떤 동물의 가죽인지, 무두질한 가죽의 크기와 두께에 따라서 입니다.
또 각 가죽마다 어떠한 방법으로 가공했느냐에 따라 종류가 달라지죠.
오늘은 다양한 가죽의 종류를 한번에 정리해 보겠습니다.

1.jpg

우선 가죽은 기본적으로 가장 바깥쪽에 외피인 표피가 존재하고 표피층은 전체 가죽 두께의 1%정도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주 성분인 케라틴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그 아래에 콜라겐 단백질이 주 성분인 진피가 있습니다. 이 진피는 비교적 단단하고 두꺼우며 강한 섬유성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구요. 바로 이 부분이 가죽으로 만들어지는 주요 부분입니다. 또한 이 진피도 분류가 되는데 표피 바로 아래에 위치한 유두층과 깊은 안쪽에 위치한 망상층으로 나뉩니다. 유두층은 모낭, 땀샘, 피지선 등이 있고 가죽 고유의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망상층은 섬유조직들이 얽혀있어 가죽을 단단하고 탄력있게 만들어줍니다.

2.jpg

이러한 표피층을 털과 함께 제거하고 유두층쪽의 표면이 겉으로 나오게 하는 작업을 무두질이라고 부른답니다.

그리고 이렇게 나온 작업물의 유두층 쪽 면을 은면이라고 부르고 만약 유두층까지 제거 한 뒤 망상층으로만 가죽을 만들었을 경우 이것은 스웨이드라고 불립니다.

무두질을 할 때 주 원료인 타닌을 사용하게 된다면 그 과정을 태닝한다고 부르고 이렇게 태닝한 가죽을 베지터블 가죽이라고 부르게 됩니다.

베지터블 가죽을 사용하며 햇빛에 노출되고 사람의 손기름 등으로 색이 바래지고 반들반들해지면 가죽이 에이징된다라고 말합니다.

3.jpg


자 그럼 본격적으로 가죽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동물에 따라 구분한 가죽입니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소가죽!

이 소가죽은 핸드백부터 구두, 가구, 악세사리까지 다방면으로 쓰이는데요. 생후 3개월 미만의 송아지의 가죽인 카프스킨은 최고급 소가죽으로 여겨지고 생후 2년 이상이 된 수소인 스티어하이드는 소가죽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죽입니다. 생후 기간에 따라 헤이퍼, 킵스킨, 카우하이드, 불하이드 등으로 나눠지며 가공방법에 따라 슈렁큰, 베지터블, 나파 등으로 분류됩니다.

4.jpg
5.jpg

물소가죽은 소가죽과 비슷하지만 소가죽에 비해선 표면이 거칠거칠합니다. 물소가죽 특유의 주름무늬가 특성이며 핸드백같은 잡화제품만 아니라 소파에도 자주 쓰입니다. 다른 제품에 쓰이는 가죽도 적어 볼까 했지만 종류가 너무나도 다양해서 이쪽은 나중에 따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두께와 크기에 따라 구분하는 것은 조금 간단한데요.

무두질을 한 뒤 나온 가죽의 크기와 두께를 보아서 소, 말같이 큰 동물의 가죽은 하이드라고 부르고 양, 염소, 돼지처럼 작은 동물의 가죽은 스킨이라고 부릅니다.

6.png

그중 하이드는 부위에 따라서도 이름이 다른데요. 등과 엉덩이 부분은 Butt Bend라고 부르고 1등급가죽입니다. 어깨인 Shoulder는 2등급, 배와 옆구리는 Belly라고 하고 3등급으로 구분이 됩니다. 

1등급일수록 튼튼하고 매끈거림, 두께의 균일함이 가장 최상급이며, 3등급으로 갈수록 얇아지며 거칠고 또 핏줄같은 자국이 많아집니다. 


가공방법에 따라서는 소가죽만을 기준으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우선 가죽에서 털 바로 아래에 있는 부분을 그레인이라고 부르는데요. 이 그레인 중에서도 가장 강하고 내구성이 좋은 윗층을 풀그레인, 그 다음을 탑그레인이라고 부릅니다. 
이 풀그레인은 에프지라고도 불리며 가죽에 물리적 가공을 최소화시킨 가장 자연스러운 가죽이며 우리가 흔히 평범한 가죽이다라고 부르는 가죽입니다.

7.jpg



이 에프지에 식물성 성분인 타닌을 이용해서 무두질 했을 경우, 이것을 베지터블 가죽이라고 부르는데요.
이 가죽을 얻기에는 시간도 많이 걸리고 수작업 공정이 일부 있어서 가격이 비싼 편입니다. 대신 자연스러운 가죽의 느낌을 내기에 가장 적합한 소재로 최근들어 가죽 본연의 느낌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많이 찾아지고 있는 가죽입니다.

8.jpg



무두질을 한 뒤 가죽표면에 오일을 발라 방수성과 부드러운 느낌을 살린 가죽은 오일레더라고 부릅니다. 가죽을 손으로 당겼을 때 밝은 색상이 되었다가 문질러주면 오일기가 올라오면서 원래 색상으로 돌아가는 가죽이죠.

22.jpg



위에서 설명했던 베지터블 가죽을 태닝하는 과정에서 일반 베지터블 가죽보다 더 오랜시간을 거쳐 태닝작업을 하게 되면 통가죽이 나오게 됩니다. 통가죽은 두께가 두껍고 단단하며, 소파 이외에도 벨트나 가죽공계품 등에 많이 쓰이는 소재입니다.

10.jpg



그레인에서 표면을 매끈하게 갈아내고 도장처리를 하게되면 복스가 됩니다. 복스는 유광과 무광, 자연광, 이렇게 세가지로 만들어 낼 수 있으며 하드한 타입의 소재입니다.

11.jpg



가죽을 가공하는 과정에 파라핀을 첨가하면 하얗고 밝게 변하는 부분이 생깁니다. 이 부분을 초크마크라고 하는데 이 초크마크가 잘 드러나는 가죽은 바로 풀업이라고 부릅니다. 주름이 하얀색으로 보여서 캐주얼하고 빈티지한 느낌을 줍니다.

12.jpg



1875년, 캘리포니아 나파지역에 있는 Sawyer Tanning Company에서 일하던 이마누엘 매나스에 의해 처음 만들어진 가죽인 나파가죽은 물리적 가공을 최소화시켜 두께가 적당하고 부드러우며 자연광택을 지닌 가죽입니다. 가구 이외에도 의류나 핸드백, 신발에도 쓰입니다.

13.jpg



BBG란 이름은 Baseball Gloves에서 따온 말로 이름대로 야구글러브에 사용하는 가죽입니다.
두께와 탄력이 있고 부드러운 촉감을 가진 가죽으로 가공처리를 최소화하고 염색만 준 내추럴 가죽입니다.

23.jpg



만약 가죽 특유의 쭈글거리는 주름 모양을 좋아하시는 분들은 슈렁큰 가죽을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가죽을 태고에 넣고 돌려서 자연 무늬를 만들어 낸 것인데요. 이 경우 부위별로 무늬의 크기차이가 크기때문에 엠보를 찍어서 무늬를 내기도 합니다. 이를 오플 슈렁큰이라고 부릅니다.

15.jpg



파이톤이나 악어, 타조 등 다양한 동물 가죽의 무늬나 인공적인 패턴을 동판으로 만들어 프레스를 눌러서 만든 가죽을 엠보싱이라고 부릅니다.
무늬에 따라 악어엠보, 파이톤엠보, 타조엠보 등의 이름이라고 불리며 사피아노, 앱송과 같은 패턴의 엠보가죽도 있습니다.

16.jpg



누박, 혹은 누벅이라고도 부르는 가죽은 표면을 얇게 깎고 기모를 낸 가죽으로 스웨이드보다 털이 짧고 차분한 벨벳느낌을 내는 소재입니다.
고급 소재에 속하며 엠보 가공을 하기도 합니다.

17.jpg



위에서 설명했던 스웨이드는 표면을 얇게 깎아내어 기모를 낸 가죽을 의미하지만 상층을 가공했느냐 하층을 가공했느냐에 따라 구분됩니다.
흔히 세무라고도 불리며 상층을 가공했다면 스웨이드가, 하층이라면 스플리트가 됩니다. 그리고 스플리트는 우레탄 수지나 필름을 붙여서 PU 스플리트와 엠보 타입으로 가공하기도 합니다.

18.jpg



암소에 뱃속에 있던 송아지의 가죽은 송치라고 부르며 주로 어미의 뱃속에서 유산된 송아지의 가죽을 사용합니다.
털이 그대로 살아있으며, 그 희소성 때문에 고가의 고급소재로 분류된다고 하네요.

19.jpg


가죽을 코팅할 때 펄과 같은 다양한 금속성 색상을 첨가하여 가공하거나 금속성 필름을 코팅하여 가공하면 메탈릭 가죽이 됩니다.
반짝반짝거리는 효과를 낼 수 있어 아름답습니다.

20.jpg



만약 에나멜이나 우레탄층을 형성시켜 광을 내면 페이턴트가죽이 되는데요. 쪼글쪼글한 것은 크링클 이라고도 부릅니다.
유리처럼 광이나는게 특징이며 밝은 색상의 페이턴트가죽으로 만든 제품은 다른 색상을 잘 흡수하여 이염될 수 있으므로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24.jpg


지금까지 가죽의 종류를 대강 살펴보았는데요. 
앞으로 가죽 제품을 사실 때는 이러한 가죽들을 구분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DAC 정보마당

DAC 소파에서 알려드리는 다양한 정보입니다.

  1. 재질에 따른 소파의 분류

    Read More
  2. 소파의 종류를 알아봅시다!

    Read More
  3. 가죽제품 관리 방법

    Read More
  4. 가죽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요?

    Read More
  5. 소파 갤러리 전시장이 새롭게 오픈 되었습니다 !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Site MAP
 
|   즐겨찾기등록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오시는 길

[도로명 주소] 경기도 하남시 하남대로 416(하산곡동)   |   사업자등록번호. 126-07-68975
전화. 031-793-5644   |   팩스. 031-792-5645   |   메일. dac2016@naver.com
Copyright © 다크소파(DacSofa) 2025. All rights reserved.

                   

 
✔  Web Designed by MIC-MIN e-business Consulting

✔  저작권표시